길을 가다보면 구부러진 허리로 힘들게 폐지를 줍고 있는 노인들을 보게 된다. 어디 의지할 데도 없고 노쇄한 몸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따로 없는 처지가 짐작된다. 그런데 이 일조차 폐지 단가가 크게 떨어지는 등으로 입에 풀칠하기도 어렵게 됐다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으로 주울 수 있는 폐지의 량도 크게 줄어 들었다. 경기도와 각 시•군은 이들 노인들을 우선 보살피는 일에 바로 나서야 할 것이다.

경기도내 폐지를 줍는 노인들은 3634명으로 파악돼 있다. 이들 대부분이 폐지를 비롯해 고철 등을 수거하며 하루 하루를 연명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폐지 수입 금지 정책으로 이들의 생계가 크게 위협받고 있다고 한다. 중국은 2017년 9월부터 환경 오염을 이유로 폐지 등 모두 24종의 쓰레기 수입을 중단한 상태다. 이 와중에 올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주울 수 있는 순환가능 폐자원의 양도 크게 줄어들었다.

자원순환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수도권 일대의 폐지 가격은 1㎏당 평균 139원이었다. 하지만 2018년 110원, 2019년 92원 등 지속적으로 크게 하락해 있다. 지난달엔 1㎏당 83원으로 불과 2년 사이에 반토막이 났다. 실제 요즘 이들 노인들이 거의 하루 종일 폐지를 주워도 200㎏을 넘기지 못하고 이를 돈으로 바꿔도 1만원을 조금 넘는 정도라고 한다. 하루 하루 생계를 유지하고 병원비를 대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한층 어려운 시기를 맞아 폐지를 주워 살아가는 노인들이 생계절벽에 내몰린 것이다.

수원, 고양, 광주 등 경기도내 일부 지자체는 이들에 대한 지원 조례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 실질적인 지원이 되지 못하는 수준이다. 수원시의 경우 지역 내 폐지수거 노인에게 하루 1만4000원을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의 조건이 달려 있어 전체 493명 중 51명만 혜택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가 올 연말까지 생계위기에 처한 사람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고 한다. 경기도형 긴급복지는 폐지수거 노인들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전국민 통신비 지원 등도 좋지만 생계절벽의 노인들을 우선 보살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