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소부장 2.0 대책 발표
첨단 글로벌 기술로 다변화해
품목 수 100→338개 이상 확대

시, 산단 활용 정부와 발맞출 땐
지역 제조업 상승세 이끌 수도

정부가 9일 100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관리대상 품목을 3배 이상 늘려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일본에서 수입하는 품목 위주였던 소부장 정책을 코로나19 국면에 맞춰 첨단 글로벌 기술로 다변화한다는 접근이다.

정부가 이를 위해 투입하는 예산은 5조원. 인천은 소재·부품 기업이 대거 포진한 지역 산업단지를 활용해 정부 정책과 발을 맞추면 경제 회복의 새로운 원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이런 내용이 담긴 소재 부품 장비 2.0 대책을 발표했다. 기존 관리대상 소부장 품목 수를 100개에서 338개 이상으로 늘린다는 게 핵심이다. 종류도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일본 수입 제품 위주에서 첨단 글로벌 기술로 확대한다. 또 반도체·바이오·미래차 등 미래 먹거리 산업을 키우기 위해 제조공장과 연구센터가 함께 집약된 대표 클러스터 지원책도 포함됐다.

최소 338개로 늘어난 소부장 관리품목은 첨단형(158개)과 범용형(180개)으로 세분화해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첨단형이란 생산에 필요한 차세대 전략기술이 담긴 품목으로, 일본이 지난해 수출 규제를 한 에칭 가스 같은 소재가 대표적인 예다. 안정적 제품 생산을 위해선 국내 자립도를 높여야 하는 분야다. 첨단 기술까진 아니어도 대외 의존도가 높은 범용형 품목도 수입국을 다변화하고 국내 업체를 양성해 공급망 훼손 위험을 줄이기로 했다. 소부장 으뜸 기업 100개도 추가 육성한다. 정부는 이런 소부장의 국내 기술 확보를 위해 2022년까지 5조원 이상을 지원한다.

그동안 우리가 취약했던 핵심 기술 분야를 보완하는 이번 소부장 지원에서 인천은 전국에서도 눈에 띌만한 인프라를 갖춘 도시로 평가된다.

우선, 인천은 소재·부품 기업 숫자가 6대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다. 소재부품 종합정보망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소재·부품 업체는 2018년 기준 모두 1897곳이다. 소속 종사자만 7만9073명에 이른다. 정부 소부장 지원 금액이 지역에도 할당돼 실제 기술 발전과 구조고도화로 이어진다면 지역 제조업 상승세를 이끌 수도 있는 대목이다.

이런 속사정으로 인천시는 지난 5월 남동국가산업단지(소재·부품·장비)를 거점으로 부평·주안(기계·전기전자), 송도지식정보(바이오·IT융합) 산단, 송도경제자유구역을 연계해 고부가 바이오와 소재·부품 사업을 육성한다는 계획도 내놨었다. 2023년까지 7000명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은 4조5000억원 늘린다는 전략이다.

인천지역 경제단체 관계자는 “기존 관리대상 소부장 100개 품목에 화학 관련 업종이 많았고 이 기업들은 수도권 규제 때문에 타지역에 있는 상황에서 지역 소재·부품업체들은 노후화, 영세화로 경쟁력이 떨어져 소부장 지원에서 인천 입지는 높지 않았다”면서도 “품목 수가 늘어난 만큼 인천지역 기업들이 진입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졌다. 장비 업체는 사실상 많지 않아 힘들더라도 소재·부품 분야에선 제 밥그릇을 찾을 때”라고 전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