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노동 종사자 처우 개선과 공공 서비스 강화를 위해 존재하는 경기도 사회서비스원이 도마 위에 올랐다.

그간 민간에 의존하던 돌봄 서비스 분야의 공공성을 높이고자 설립됐지만, 갈 길을 잃고 헤매고 있다는 지적을 받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시범운영단 설치 후 1년을 맞은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기존 기대와 달리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부천과 남양주에 있는 종합재가센터 2개소와 화성에 있는 돌봄센터 등 일부 위·수탁 사업을 하는 것 말고는 딱히 성과가 없고, 그마저도 이용자 수가 적어 이곳에서 일하는 돌봄 노동 종사자들은 사실상 강제 단축 근무를 하는 실정이다.

게다가 위·수탁 사업도 민간업체에 밀려 차별성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취재 과정에서 모두 드러났다.

한 돌봄 노동 종사자는 “공공이 운영한다는 기대감을 안고 이쪽으로 넘어왔는데 되레 근무 시간도 적고 피해만 보고 있다”며 “게다가 사회서비스원에서 일한다고 민간 어린이집 등에선 '배신자'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 여러모로 참 난감하다. 사회서비스원이 정말 좋은 곳인지 이제는 헷갈리기까지 한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이 문제를 지켜본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도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는 상황이다. 서울 등 다른 지역과 비교해 비교적 아쉬운 행보를 보이는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의 문제 중 하나로 방관하는 도의 태도를 지적한 것이다.

특히 이태수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많은 돈과 노력을 들여 사회서비스원을 만들었는데, 제대로 관리 하지 않고 내버려 둔다면, 자칫 특정 인물에게 자리를 만들어주는 역할만 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강한 질타를 받은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최근 조직 안정화는 물론 자문위원회 구성 등 문제점을 면밀하게 파악해 개선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면서 근간이 흔들리는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을 바로 잡기 위해 전문가 조언처럼 도와의 협업을 우선으로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화순 경기도사회서비스원장이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 및 돌봄 노동자 처우 개선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그리고 실천 방안을 마련해 문제를 개선할 계획이다. 경기도와도 최대한 협업할 것”이라고 다짐한 것처럼 더는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이 갈피를 못 잡는 일이 없도록 경기도사회서비스원과 경기도 모두가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해 본다.

 

임태환 경기본사 정경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