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마다 벌써 코로나19 이후 변화할 시대상을 논의하는 분위기다. 말하자면 `코로나19 종식 후 어떻게 우리 생활이 바뀔 것이냐'의 문제의식에서 나온다. 세상이 많이 달라지리란 전제를 깔고 있다. 아직 세계가 팬데믹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이른 감이 들기도 한다. 국내에선 코로나19 사태가 수그러들면서 `생활 방역' 체계로 들어섰지만, 세계적 유행은 멈출줄 몰라 더 그렇다. 그래도 언젠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을 개발해 끝장을 보리란 점에서, 이런 논의는 필요해 보인다.

먼저 포스트 코로나19엔 `사회적 거리두기'가 낳은 공동체 의식의 변화가 주목된다. 일상처럼 된 비대면과 온라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민 불안감을 키워 온 게 사실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 접촉을 막으면, 사회 생활 자체를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오늘부터 생활 방역에 들어가면서 `고강도 거리두기'를 완화했다. 이제 생활 속 거리두기, 철저한 예방 수칙 등에 나서달라는 게 정부의 권고사항이다. 코로나19 여파는 현재진행형임을 실감한다. 공동체 의식을 전면적으로 회복하려면, 시간이 더 걸린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코로나19가 가져온 가장 큰 문제는 경제다. 세계가 빗장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현재 국내 수출입은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는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보인다는 암울한 전망에서 알 수 있듯, 각국의 경제가 심상치 않다. 올 겨울 무렵엔 세계적으로 2차 코로나19가 창궐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오듯, 글로벌 경제도 여기서 자유롭지 않다.

인천은 어떠한가. 항만과 국제공항이 자리하며 한반도 관문 구실을 하는 인천엔 우선 감염병 전문 의료기관조차 없다. 인천이 국가적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의료체계를 하루빨리 갖춰야 한다. 이밖에 비대면 시대에 맞는 물류 중심의 지역경제 체질 개선, 바이오 산업 강화 방안 등도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이런 일도 분명 필요하겠지만, 코로나19 이후엔 우리 자신의 의식 개혁이 더 절실한지 모른다. 그동안 방만했던 삶을 돌아보며 절제된 생활 방식으로의 전환, 환경 개선 등의 의식을 다져나가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