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이 각종 개발로 인해 사라지고 있다. 인천 갯벌은 이젠 그 위상을 찾아보기 어렵다. 존재감이 갈수록 약해진다. 개발과 보전 사이에서 인천 갯벌은 점점 위태로운 상황에 빠졌다. 인천 갯벌 면적은 국내 전체 2482㎢의 29.3%를 차지할 만큼 넓다. 강화군 256.1㎢과 옹진군 298.2㎢ 등 총 728.3㎢에 이른다. 하지만 인천 갯벌은 생태계 보호 측면에서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한다. 해양수산부 지정 습지보호지역에도 송도갯벌(6.11㎢)과 장봉도갯벌(68.4㎢)만 포함돼 있다. 강화갯벌의 경우 국제적으로 생태계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호지역 지정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이런 현실은 세계자연유산 등재 절차를 밟는 '한국의 갯벌'에서도 탈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국제기구 인증을 받으려면, 국내법상 보호지역으로 우선 지정돼야 하는데, 인천은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아울러 제주 서귀포시, 전북 고창군, 충남 서천군 등 3곳을 선정해 '람사르습지도시' 국제 인증을 신청했다. 연수구도 람사르습지도시 공모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연수구엔 2014년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송도갯벌이 있지만, 개발 사업을 한창 진행하는 송도국제도시 특성상 환경 측면에서 점수를 받지 못했다.

인천지역 습지를 보호하려는 노력은 환경단체만의 몫인 듯싶다. 자치단체 힘이 제대로 못 미친다는 얘기다. 인천녹색연합은 15일 성명을 내 "시와 남동구가 불법 매립된 고잔습지를 4년째 방치하고 있다"며 "행정대집행을 통해 즉각 원상복구하지 않으면 관계자들을 직무유기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신청 후보심사에서 인천이 탈락한 것은 당연하다"고 비꼬았다. 갯벌보전 의지가 박약하고 보전 약속을 위반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지금 세계는 기후위기에 시달린다. 그래서 특히 갯벌과 습지의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일이 중요하다. 합법 절차에 따라 매립했던 갯벌도 복원하는 게 국제적 추세이기도 하다.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지만, 그 비극적 결과는 고스란히 인간에게 되돌아온다. 갯벌 보호는 정책적 의지에 달렸다. 개발논리에 휩쓸려선, 우리의 미래는 결코 지속가능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