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직후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인천국제공항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3일 만인 2017년 5월12일 이곳을 방문해 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 앞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도 즉각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을 빠른 시일내 추진하겠다"고 화답했으나 지금까지 이행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공사는 공항시설 관리와 운영 서비스를 담당하는 자회사 2곳을 만들어 용역회사와 계약이 종료된 3188명을 정규직으로 고용했다. 이어 공항 경비를 맡고 있는 97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 위해 3번째 자회사를 설립한다는 방침을 세웠으나, 이를 놓고 노사가 상반된 입장을 보여 왔다.
공사는 "현행법상 경비 업무는 겸업이 안돼 새로운 자회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노조는 "기존 2개 자회사를 합치고, 경비업과 겸업 가능한 업종으로 새 자회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둘 다 기득권 유지와 관련돼 있다.

양측은 감정싸움으로까지 치닫는 양상을 보이다 최근 극적인 합의를 보았다. 경비 업무를 담당하는 자회사 ㈜인천공항경비를 설립해 경비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인천공항은 대통령이 직접 찾아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한 만큼 정치적·노동적 상징성이 큰 곳이다. 문재인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정책 출발점이자 시험대로도 불린다. 그럼에도 노사는 서로 진정성을 의심하며 갈등을 빚어 왔다.

때문에 이번 합의는 가뭄 끝의 단비와도 같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노사 합의사항이 변질되거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당초 인천공항은 비정규직(9785명)이 정규직(1280명)보다 7.6배나 많아 노동시장으로부터 비정규직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2017년 12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노사 합의안이 마련된지 2년이 지났지만 이행율은 32.5%에 불과하다. 금방 비정규직 제로화가 이뤄질 것 같았던 당시 분위기를 떠올리면 초라한 성적표다.

이번 합의가 한치의 어긋남도 없이 실행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추가 정규직 전환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