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이중고를 겪는다. 감염과 생계를 함께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서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일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한다. 코로나19 사태에 비상인 정부에선 감염 확진자와 밀접 접촉자 방역에만 집중하지,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생각할 겨를은 없는 듯하다.
실례로 학습지 교사들은 코로나19로 쏟아지는 학습지 중단 요청으로 생계에 위협을 받는다. 특수고용 노동자인 이들에겐 학부모가 주는 회비가 임금이어서 학습지 중단은 곧 임금 감소를 의미한다. 최근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학습지를 끊거나 교재만 받고 수업을 거부하는 학부모가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시름이 깊어진 노동자는 비단 이들뿐만 아니다. 택배·대리운전·퀵서비스·방과후강사 등도 생계와 감염 위협에 노출돼 고충을 겪는다.

여기에 각종 시설과 기관 등의 영업중단이나 폐쇄로 인해 비정규직 일감이 사라졌다. 이들은 코로나19에 대비할 '차별 없는' 대책을 세우라고 촉구한다. 안전하게 일할 권리에 대해선 고용형태를 불문하고 누구나 동일하게 보장을 받아야 한다는 얘기다.

부천시 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가 지난해 지역 비정규직 노동자 애로사항을 상담한 결과 총 877건 중 '임금' 관련이 363건으로 41.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중 퇴직금 32.8%, 시간외 수당 13.8%, 휴일 수당 10.2% 등의 순이었다. 역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임금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임금은 생계와 직결되는 만큼, 요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시름을 알 수 있겠다. 이들은 정부와 기업의 코로나19 예방 대책에서도 배제돼 서럽다고 호소한다.

비정규직의 경우 고용보장이 되지 않다 보니 경제적·사회적 약자로 취급된다. 이런 '약점'을 빌미로 고용주나 고용책임자는 이들에 대한 근로기준법을 무시하기 일쑤다. 안전환경 무시, 인신공격성 폭언, 임금체불 등에도 비정규직은 제대로 항의를 하지 못한다. 정부는 비정규직 중 상당수를 정규직으로 돌리는 일에 힘을 쏟는다고 하지만, 현실에선 그렇지 못하다는 게 노동단체의 분석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어디서나 소외를 받지 않고 더불어 사는 '공정한' 사회는 언제쯤 오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