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찬흥 논설위원

인천복지재단은 '당당한 시민과 함께하는 풍요로운 인천복지'라는 목표 아래 지난 2월 출범한 조직이다. 재단 홈페이지을 열어 보면, 복지정책 연구개발을 비롯해 민관 소통협력 플랫폼 운영, 복지인재양성 등 여러 사업을 나열해 놓았다.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지난 12일 인천복지재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날 유해숙 재단 대표는 업무보고를 통해 유난히 소통, 협력, 토론, 시민참여를 강조했다. 하지만 시의원들은 오히려 유 대표의 소통력과 홍보 부족, 성과부족을 비판하고 나섰다. 가장 먼저 도마에 오른 것은 직원들의 집단 퇴사 문제다. 정원 20명 중 6명이 재단 출범 4개월 만에 사표를 냈다. 유 대표가 취임하기 이전에 채용된 인력들이라고 하지만, 대표 취임 이후 집단으로 사표를 낸 것이다.

이 문제는 이미 지난 8월 시의회 임시회에서 거론된 적이 있다. 당시 유 대표는 '자신이 취임하기 이전 직원들과 호흡을 맞추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토로했다고 한다. 그런데 3개월 이후 열린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때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것이다. 당연히 시의원들은 대표의 소통 부재를 문제 삼았고, 이는 복지재단 운영 전반으로 확대됐다.

한 시의원은 유 대표에게 "사람이 먼저냐, 일이 먼저냐?"라는 질문을 던졌다. "직원과의 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는 마당에 어떻게 시민의 복지를 연구하겠느냐"는 따가운 질책이었다. '복지'라는 단어가 가진 뜻이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낯부끄러운 핀잔을 들은 셈이다. 시민들과의 소통을 문제 삼는 질문도 나왔다. 1개월 이내에 공개돼야 할 회의록은 찾아보기조차 힘든데다, 내용 자체도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었다. 복지정책을 집행하는 인천시와의 소통도 비판의 대상이었다. 유 대표도 '인복드림'과 관련해 인천시와 소통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유 대표는 시민단체 대표 활동가 출신이다. 이 때문에 관료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비능률, 비밀주의 파벌주의를 어느 정도는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결과는 소통부재와 비능률의 늪에서 아직 빠져 나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유 대표는 인천복지재단이 우여곡절 끝에 어렵게 출발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재단 정상화에 더욱 분발해야 한다.